400,000원 350,000원
고객평가 없음
송이는 다른 버섯에 비해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송이는 다른 버섯에 비해 생버섯의 저장성이 비교적 좋은 편인데 가을철에는 여름보다 더디게 상하며 냉장하면 2주정도 보관할 수 있다.
송이의 단점이라면 아직 인공재배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송이의 가치가 높아지면서 많은 연구자들이 인공재배를 시도했지만 아직도 성공하지 못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송이 균사를 배양하는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송이의 일반성분은 전체적으로 수분 87.5%, 조단백 18.8%, 조지방 2.8%, 조회분 83.5%, 조섬유 5.7% 정도의 수준이었으나, 등급별로는 채취 당시 품질이 가장 양호한 1등급이 88.0%로서 가장 높았고, 등급이 낮아질수록 수분 함량은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조섬유의 경우에는 1등급이 6.24%로서 가장 높은 반면 2등급이 5.69%, 3등급이 5.73%로서 등급이 낮을수록 그 함량도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즉, 저등급 일수록 신선도가 낮은 점을 고려하면, 수분 증산과 더불어 버섯 조직 자체 내에 함유되어 있는 pectinase와 같은 각종 섬유질 분해효소의 작용에 의한 결과로 유추된다.
무엇보다도 송이에서 중요한 품질인자의 하나인 갈변도(褐變度)도 생장정지품을 제외할 경우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버섯의 생장이 진행될수록 변색이 심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표1과 같은 결과에서 송이의 등급별 품질차이는 채취시기의 지연과정에 동반하는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외기노출 시간이 장기화된 저등급 일수록 수분 및 각종 가용성 성분의 증발과 섬유소의 감소현상이 심화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표1.] 한국산 송이버섯의 등급별 일반품질 특성
품질특성
1등급
2등급
3등급
개산품
생장정지품
조단백질
19.0
17.5
18.7
20.1
조지방
2.2
2.7
3.7
2.5
조회분
8.0
8.3
8.8
8.7
조섬유
6.2
5.7
5.2
갈변도
17.1
18.8
28.3
15.4
일반적으로 버섯에는 trehalose, mannitol, arabitol, glucose와 fructose 등의 탄수화물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trehalose, arabitol, mannitol이 주요 당 성분을 구성하고 있다. 송이버섯의 경우에는 HPLC로 분석한 결과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trehalose와 mannitol만이 검출되어 졌는데, 총 함량에 있어서는 1등급이 가장 많이 함유된 반면 등급이 낮아질수록 유리당 및 당 알콜의 함량 또한 낮아지는 경향이다.
믿으시고,전화(063-626-3690, 625-3690, 010-9480-1315) 게시판 또는 이메일(gorosoe@naver.com)로 연락주시면 성심성의껏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주문하실 때에는 상품종류,수량,입금인성명,입금종류, 받을분의 전화번호, 주소, 성함을 꼭 적어주 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입금확인후 지정하신 날짜나 혹은 1~2일 이내에 보내드리며, 모든 상품의 택배비는 저희가 부담 하겠습니다.
물건에 이상이 있을 경우 5일안에 반품을 받겠습니다.